logo

CLOSE

[대방고시] - 리얼합격수기

【2020 건축직공무원】 2020년 국가직 9급 건축직 5개월 합격수기입니다.

  • 지역 : 해당없음
  • 직렬 : 건축직
  • 작성자 : 김** (kcw****)
  • 등록일 : 2020-12-11


※본인소개※

안녕하세요
2020년 1월에 건축계획 기출문제풀이 청강을 듣고 2020년 2월에 대방고시 모바일 프리패스 끊기 시작했던 3년제 대학 건축전공한 학생입니다.
그 당시 국회직이 뭐냐고 안남식교수님께 여쭤봤던 공무원공부에 대해서 1도 몰랐던 학생이었지만
올해 지방직(경기-부천), 국가직(추가합격)을 합격해서 아주 운이 좋게 2관왕이 되었습니다.
사실 3월에 볼 국가직 시험은 테스트용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국가직에는 크게 의미를 담아두지 않았었습니다.
그리고 공무원공부를 5개월밖에 하지 않았기 때문에 높은 점수로 합격하지는 못했구요.
가산점(건축산업기사)을 포함한 지방직 국가직 점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방직 65 75 65 45 45 =평균 64(가포) 20200613 시험(합격)
국가직 85 70 65 50 60 =평균 71(가포) 20200711 시험입니다. (추가합격)
(8월발표당시)커트라인 73이었습니다. 하지만 11월에 필기 추가합격후 면접도 봤어요
제가 점수를 알려드린 이유는 6월에 본 시험(지방직)과 7월(국가직)에 본 시험공부방법을 달려드림을 각인시키기 위해 보여드립니다

※공부시간 및 계획※
저의 공부시간은 낮12시~밤12시였으며 나머지 시간은 한국사가 약했기 때문에
이야기로 알려주는 유튜버들을 보면서 한국사 흐름파악하는 시간으로 보냈습니다.
그리고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을 국어 한국사 영어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 건축구조 건축계획과 같이 격일로 인강을 보았습니다.
지방직이 끝나고 어떤 점수를 올릴 수 있을지 고민을 해본 결과
한국사 건축계획 건축구조의 점수를 대폭 올리자는 심정으로 공부를 하였습니다.
빵꾸노트.. 21년부터 교재가 있더군요. 무조건 추천드립니다.


※당시 국가직 필기 심정※
푸는순서를 건축계획 건축구조 한국사 국어 영어 순으로 풀었습니다
건축구조와 국어를 푸는데 시간을 많이 들어 영어풀고 마킹하는데까지 20분밖에 남지 않았었죠.
영어 과락뜰거라고 생각했는데 운이 좋게 과락은 면했습니다.



※과목 별 공부방법※
국어
지방직
올해부터 출제가 수능형(?) 처럼 나와 비문학길이가 길어지고 문법문제는 최소화된 경향이었습니다.
문법 기본 2회독 문학 1회독 비문학 1회독으로 공부하였습니다. 한문은 걸렀습니다.
기출문제는 회독수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기본 2회독 돌리고)을 깨닫고 1문제라도 어떻게 인과관계로 풀리는지 어떤 논리로 짜여있는지 스스로
고민을 많이 하였습니다.
국가직
지방직에서 틀린문제를 해설강의를 들으면서 해설강의대로 분석하였습니다.
그리고 표준어 사자성어 맞춤법 파트가 약하다는걸 깨닫고 기출문제를 약한파트 위주로만 풀고
사자성어를 단어 외우듯이 달달달 외웠습니다.(한문까지는 ㄴㄴ)

영어
지방직
국어와 마찬가지입니다. 본인은 기본적으로 구문독해와 문법을 어느정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독해강의만 들었습니다.
독해를 할 때 국어와 마찬가지로 절대 양치기가 아닌 1문제를 10분정도 할애하면서 소재를 찾고 논리구조가 어떻게 되는지 파악하였습니다.
영어단어는 하루에 100개 200개 외우는데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지 않았기 때문에 하루에 50개는 기본으로 모르는 단어들은 해당 독해지문 단어를
맥락을 파악하며 암기하였습니다.
국가직
지방직에서 틀린문제를 해설강의를 들으며 틀린유형을 집중공략하며 소재찾기 맥락파악하는데 할애하였습니다.

한국사
지방직
고구려 다음에 바로 고려인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기본이론 2회독을 듣고 필기와 내용어느정도 파악한 뒤에 기출 1회독 하였습니다.
기출 풀때 절대로 문제풀고 넘어가는 식으로 하지마시고 보기하나하나 왜 답이아닌가를 고민하면서 공부하셔야 됩니다.
포장지가 되는 문제의 시대상황이나 사건 등을 문제 하나하나 보기를 가리고 푸셔야 1회독이어도 기억에 오래남습니다.
국가직
지방직때 틀렸던 문제를 해설강의를 들은 이후에 약한파트 기본인강을 듣고 빵꾸노트로 되어있는 교재를 하나사서 아웃풋 공부하였습니다
지방직 65-> 국가직 65 (지방직 80~90맞던 사람도 국가직 국사 과락남)

건축계획,건축구조 말씀드리기전!
안남식교수님 말씀하나하나 머리에 각인시키세요.
공부방법과 형광펜으로 표기해야 잘보인다는 노하우를 꼭 들으셔야 됩니다.
저의 경우 안남식 교수님 말씀을 비록 인강이지만 문제풀기위한 용이아닌 인생선배님을 만났다는 심정으로 경청했습니다
아웃풋 공부하는 방법도 교수님 말씀때문에 실천할 수 있었습니다.

건축계획
지방직
기초이론 1회독 이후에 기본이론 1회독을 들었습니다. PPT에 강조하시는 부분 형광펜으로 하이라이트를 하며 필기를 정말 꼼꼼하게 했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 그림으로 쉽게 설명해주십니다.
기출문제는 먼저 풀어본 이후에 인강을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 해주시는 포인트와 중요도표시 꼭 참고하시고 암기법도 많이 터득하셔야 됩니다.
국가직
지방직때 풀고 틀렸던 부분을 해설강의참고하였습니다.
그리고 빵꾸노트는 여기서 부터 시작했습니다. 빵꾸노트를 보실 때 절대로 빵구노트에 있는 빵꾸에 정답 표기하지마세요.
포스트잍에다가 정답을 적으시구 틀린건 문제에다가 하이라이트를 치시던 표기를 하세여!

건축구조
건축계획과 동일합니다만
역학은 다릅니다. 기초 > 기본 역학강의를 들으셨으면 바로 기출문제 역학을 풀어보시고 반드시 인강을 꼭 보셔야합니다.
기본이론보고 역학 다하셨다고 생각하시면 그리고 포기하신다면 다음 해 시험을 준비하셔야 할겁니다.

※공부하면서 느낀 점※
건공모 게시판이나 오픈채팅 건축직 공무원 채팅방이던 공부는 자기 스스로 하는 것이고 그런 커뮤니티는
모르는 문제 물어보기용이나 면접자료 찾을 때나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하면 어떡하나여? 이 방법 괜찮은가요? 라는 질문을 하지마시고 스스로가 시행착오를 겪고 방법을 찾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타인의 정도와 자신의 정도 그리고 생각들도 다르기 때문에 정보의 중립을 파악하는게 제일 큰 관건입니다.

저는 지방직에서도 국가직에서도 좋은 점수는 아니었기 때문에 코로나로 인한 필기합격대기기간(2개월)
국가직합격대기기간(1개월)으로 마음고생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그리고 사기업면접경험조차 없었지만
면접스터디를 지방직 4개 국가직 1개를 들었으며 일자리카페같은 면접자료를 제공해주는 공공기관을
찾아가면서 정보를 구하기도 했습니다. 피를 말렸지만 그래도 피와살이 됐다는 생각에 뿌듯하기도 합니다.

아! 그리고 모집인원수(TO)와 응시인원수가 실 경쟁률이니까 접수인원으로 경쟁률 판단하시면 안돼요!
지역별로 가산점포함 50점으로도 붙을 수 있으니까요! 근데 왜 50인지 공부하시면 아실거에요

※드릴 말씀※
저의 합격수기를 보고 도움되셨으면 좋겠지만 어디까지나 자기 자신이 바뀌어야 결과도 나온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포기는 절대 하지마세요. 공부는 시간에 비례하나 시간이 절대적이지가 않기 때문에 성적이 나오지 않는다면
자신이 처한 현재상황에서 바꿀 수 있는 것을 선택하세요.